승려와 수수께끼

랜디 코미사, 『승려와 수수께끼』, 이콘

미뤄 놓은 인생 설계

의심의 여지가 없었다. 레니도 아버지처럼 일이 먼저라고 생각하는 사람이었다. 추측컨대 레니는 아버지와 같은 운명을 피하고 싶은 생각에 잔인한 타협안을 받아들였을 것이다. 오래도록 일하고 나서야 잠깐 동안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는 운명. 이런 운명을 표현하는 공식적인 단어는 없다. 하지만 보험회사에서 일한 경력으로 볼 때, 레니라면 이 운명을 ‘미뤄 놓은 인생 설계Life Plan’ 라고 부를 것 같았다. 이 보험 상품의 혜택을 완벽하게 받으려면, 인생을 두 부분으로 확실히 나눠야만 한다.

1단계: 해야만 하는 것을 해라.
(그렇게 미룬 후, 궁극적으로)

2단계: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해라.

비즈니스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은 재정이 아닌 애정이다

‘미뤄 놓은 인생 설계’, 우선은 의지를 가지고 일단 추진하고, 그 다음 열정을 쏟는다.

누가 이런 인생을 원할까?

다시 한 번 묻습니다. 레니. 제 질문의 의도를 완전히 잘못 받아들이셨군요. 평생 한 가지 일에만 매달리라는 뜻이 아니었습니다. 내일 당장 숨을 거두게 된다면 오늘 어떤 일을 하고 싶을지 생각해 보라는 뜻이었습니다. 의지와 열정을 혼동하지 마십시오. 의지는 떠밀려 가는 것을 말합니다. 의무감과 책임감 때문에 말입니다. 열정은 본래의 자신과 일치되는 일을 하고 있을 때 느끼는 유대감 같은 것이지요. 열정이 있어야 어려운 시기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MBA에서 가끔 강의를 할 때 저는 이런 말을 합니다. 비즈니스를 가치 있게 만드는 것은 재정이 아닌 애정이라고요. Funerals.com에도 그 자체만으로도 힘이 되는 무엇이 있어야 어떤 역경이 닥치더라도 딛고 일어설 수 있습니다. 제 경험을 말씀 드리자 면 돈을 벌 수 있다는 희망이나 기대는 그런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자신에게 다시 한 번 질문해 보세요. 잘 있어요.

_랜디

레니는 관을 싸게 팔겠다는 기회주의적인 발상에만 집착했기에 자신과 앨리슨까지 싼값에 넘겨야 했다

프랭크나 다른 벤처캐피털리스트들이 자선 활동을 하는 기관이 아니라는 레니의 생각은 옳다. 그러나 이들은 큰 시장에서 비전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달려가는 똑똑한 젊은이들에게 투자하면서 시행착오를 거쳤고, 많은 것 또한 배우게 되었다. 레니는 관을 싸게 팔겠다는 기회주의적인 발상에만 집착했기에 자신과 앨리슨까지 싼값에 넘겨야 했다. 물론 그런 생각이 통할 수도 있겠지만 프랭크나 파트너들은 대어를 원했다. 레니는 초기에 가지고 있었던 비전을 그대로 밀고 나갔어야 했다. 적어도 거기에는 흥미를 가지고 열심히 일할 만한 가치가 있었다.

인생에서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은 오직 나 자신의 장점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나는 오랫동안 성공에 대해 충분한 인정을 받아 왔다. 게임을 지배하는 규칙의 전문가인 변호사였고, 전성기의 애플에서도 일했다. 또한 클라리스라는 유명 벤처기업의 창업 멤 버로서 회사의 성장을 도왔다. 그때까지만 해도 내 운명은 내가 결정지을 수 있다고 확신했다. 하지만 GO를 거치며 세상에는 나 혹은 그 밖의 누군가가 통제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큰 무엇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다음 봉우리 너머 무엇이 있을지, 다음 계곡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지 모른 채 오랫동안 시간을 보내다 보면 인생에서 내가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은 오직 나 자신의 장점밖에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나는 창업 지망생들에게 사업상의 위험부담과 성공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면 이런 말을 한다.

만약 당신이 똑똑하면 위험부담이 15~20퍼센트 정도 감소한다. 하루에 24시간 일한다면 15~20퍼센트 정도 감소한다. 나머지 60~70퍼센트의 위험부담은 당신이 절대로 통제할 수 없는 부분이다.

내가 어떤 일을 하는지, 내가 어떤 사람인지에 그 토대를 두어라

단순히 행운과 함께 오는 성과가 아니라 얼마만큼 실력을 발휘하느냐를 성공의 척도로 삼아야 한다. 외부 여건을 통해서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껴서는 안 된다. 사업으로 얼마나 성공을 거뒀는지가 아니라 내가 어떤 일을 하는지, 내가 어떤 사람인지에 그 토대를 두어라. 세상에는 통제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면 심각한 실수를 저지르고, 자원을 엉뚱하게 쓰며 시간을 결국 낭비할 것이다.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위험부담은 아무것도 아니다

개인의 위험부담은 존경하지 않는 사람과 함께 일하는 것, 나와 다른 사업관을 가진 회사에서 일하는 것, 그리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타협해야 하는 것, 본모습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혹은 완전히 모순되는 일을 하는 것들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중 가장 큰 위험부담은 미래의 행복을 위안으로 삼으면서 하고 싶지도 않은 일에 평생 인생을 낭비하게 되는 것이다.

나는 사업상의 위험부담 때문에 망설인 것이 아니라 더 잘 통제할 수 있는 개인적 위험부담 때문에 고민한 것이다. 내가 법률회사에 남을 경우, 관심도 없고 심지어는 내 가치관에 어긋날 때가 있는 일을 하면서 평생 불만족스러운 삶을 살아야 할 가능성이 있었다. 전문가가 되려면 창의력을 억누른 채 한 분야로만 매진해야 한다. 애플의 성공 여부보다 법률가로서의 위험부담이 훨씬 더 컸다. 결국 나는 당시 삶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것을 추구하기로 결심했다. 이론적으로만 보면, 사업 실패의 위험부담은 실패의 가능성에 실패의 비용으로 곱한 값이 된다. 물론 주관적인 분석이지만 이 과정을 통해 재정적인 위험부담과 보상에 대한 자기 스스로의 태도가 밝혀질 수 있다.

반면 개인적 위험은 계량화가 불가능하다. 그것은 가치와 우선순위, 자신이 누구인지를 표현하는 문제다. ‘안전제일주의’라는 말은 현상에 만족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 당장 금전적 이익이 있으면 시간 낭비와 만족감의 부재 또한 감수할 수 있다는 뜻이다. 아니면 아무 생각조차 해보지 않겠다는 뜻이다. 반면, 시간과 만족이 값을 매길 수 없을 만큼 소중한 것이라 여긴다면 자신과 가족의 행복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패에 따른 위험부담을 감수하게 된다.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한 위험부담은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남은 인생 동안 무엇을 하고 싶은가?

‘총체적인 인생 설계’만이 개인적인 성공을 이끈다. 내일 죽더라도 최대의 만족감과 충족감을 무덤에까지 가져갈 수 있다. ‘미뤄 놓은 인생 설계’에 따라 살다 보면 보상받기를 원하는 욕심과 뭔가 채우고 싶은 허기가 늘 끊이질 않는다. 항상 뭔가 부족한 느낌이 든다. 열정을 다해 열심히 일하라. 단, 가장 소중한 재산인 시간을 가장 의미 있는 일에 써라. 남은 인생 동안 무엇을 하고 싶은가? 이 말은 문자 그대로 앞으로 평생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뜻이 아니다. 예상치 않은 사회 속에서 앞으로 평생 동안 어떤 일을 하게 될지 알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누가 있을까? 내일 갑자기 생이 끝난다면 지금까지 정말로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았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당신은 앞으로 평생 어떤 일을 하고 싶은가? 지금 당장 그 일을 시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렘브란트의 <야경>

_DeNachtwacht.jpeg
De Nachtwacht(1642)

지난번 암스테르담으로 여행을 갔을 때 들른 라이크스 박물관에서 오후 내내 베르메르와 렘브란트의 작품을 감상한 적이 있다. 렘브란트의 <야경>은 특히 인상적이었다. 네덜란드의 다른 화가처럼 그 역시 부유한 후원자들의 부탁으로 이 그림을 그렸다. 시민군의 영화를 증명하듯 우아하게 차려입은 열 몇 명의 사람들이 후원금의 액수와 사회적인 지위에 따라 그림 속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네덜란드 경제 황금기를 이끌던 유명인사들이 캔버스를 통해서 불멸을 꿈꿨던 것이다. 하지만 그들 중 내가 아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었다. 그저 한 화가의 걸작에 등장하는 소재일 뿐이었다. 지금 내게 의미가 있는 단 한 사람은, 후세까지 명성이 전달된 가난한 화가, 렘브란트뿐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부와 명예, 권력을 휘두르고 있는 오늘날, <야경>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자. 몇 백 년이 지나면 오늘날 잘나가고 있는 거물들 역시 기껏해야 캔버스 속의 배경으로 전락할 뿐이다.

그 작품을 감상하고 있으니 몇 년 전 신문 헤드라인의 ‘미국 최대 갑부, 샘 월튼 눈을 감다’라는 내용이 떠올랐다. 결국 그는 갑부를 기록하는 줄에 최근 이름을 올린 사람에 불과한 것일 뿐, 존 메이너스 케인스의 말처럼, 결국 우리 모두는 죽는다.

가장 중요한 자원은 시간뿐이다.

Subscribe to kohdongki

Don’t miss out on the latest issues. Sign up now to get access to the library of members-only issues.
jamie@example.com
Subscri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