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고민이 아닌 걱정 속에서 회사를 다니다가 먼 나라에서 보내는 여름휴가로 지친 스스로를 위로하는 일상을 서른 번 정도 반복하고 나면, 어느새 누구의 것인지 모를 낯선 인생과 커리어만이 빛바랜 개근상장처럼 남아 있을 뿐이다.
회사에서 디자이너로 일할 때는 삼성과 LG, 나이키 등 굴지의 클라이언트들이 만족해할 만한 결과물을 냈던 그였다. 그렇기에 디자인에 관한 일이라면 어떤 일이든 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김봉진 대표는 그 믿음이 자만이었음을 깨닫는다.
그는 직장인으로 돌아가 네이버에 입사해 빚을 갚고, 대학원에 입학해 디자인 철학을 재정립하면서 가장 자신다운 브랜드와 사업 모델을 고민한다. 그 결과물이 배달의민족이다. 그는 창업을 할 때 ‘내 전문 경력이나 관심사를 살리면 잘될 거야’라는 정도의 어설픈 계획을 세웠기 때문에 뼈저린 실패를 겪었고, 다시 사업을 시작할 때는 엄청난 고민과 과정을 거쳐 성공을 이루어냈다.
업계에서 인정받는 디자이너도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실패를 경험했다. 그런데 평범한 직장인이 평일 저녁이나 주말 서너 시간 정도의 벼락치기 준비로 몇 개월 만에 이직을 계획하다니, 위험 부담이 너무 크지 않은가!
당신에게는 어떤 명분이 있는가? 그리고 당신의 이직 계획은 그 명분에 어떻게 맞아떨어지는가? 아직도 ‘무엇을 하고 싶어서, 언제까지 무엇을 해야 하니까, 무엇이 되고 싶어서’ 같은 목표나 계획만 떠오른다면 제대로 된 기획이 절실한 시점이다.
그 결과, 우리는 학점이든 연봉이든 재산이든 직위든 세상이 정해놓은 기준에서 더 많은 점수를 따는 것이 성공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런 관점은 진정한 커리어를 만드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박승오, 홍승완, 『인디 워커, 이제 나를 위해 일합니다』, 열린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