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함은 궁극의 정교함이다.’ 이 말은 분명 스티브 잡스가 했다고 믿고 있었는데, 어느 날 이 말의 원전을 찾아보니 놀랍게도 르네상스 시대의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한 말이었습니다. 21세기에 전 지구적인 영향력을 가졌던 인물이 가슴에 품은 문장은, 15세기를 살았던 거장의 입에서 나왔던 겁니다. 놀라운 일입니다. 600년 전의 이야기가 여전히 유효하다니요.
그런데 더 놀라운 것은, 저 문장과 정말 비슷한 글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시절보다 2천년 전의 동양에서도 발견된다는 겁니다. 노자의 『도덕경』 속에 등장하는 ‘大巧若拙’이 그것입니다.
대교약졸. 유홍준 선생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처음 접한 뒤, 포스트잇에 적어 늘 제 컴퓨터 옆에 붙여두었던 문구입니다. ‘큰 솜씨는 마치 서툰 것처럼 보인다’는 뜻이죠. 가장 훌륭한 어떤 것은 기교 없이 담백하고 단순하다는 겁니다. 스티브 잡스의 문장과는 시간적으로 2500년 이상 떨어진 이야기죠. 대가가 되면 결국 비슷한 진리에 닿는가 봅니다. 그리고 저는, 맹자에게서도 비슷한 문장을 봅니다. (이쯤에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저는 스티브 잡스에 대해선 조금 알지 몰라도, 노자나 맹자에 대해선 전혀 해박하지 않습니다. 그저 이 글 저 글 속에서 저 문장들을 발견하고, 수집하다가, 약간의 연관성을 발견한 것뿐임을 알려드립니다.)
博學而詳說之, 將以反說約也 (박학이상설지 장이반설약야)
넓게 배우고 깊이 생각하는 것은 간략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유병욱, 『생각의 기쁨』, 북하우스.